신축 아파트들의 비싼 가격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구축 아파트 매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구축 아파트도 나름이겠지만 20년된 아파트의 경우, 내부 리모델링은 필수적으로 진행이 필요하죠. 입주 후 그대로 사신 분들도 많고, 일부 인테리어를 했다고 하지만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촌스럽고 니즈를 충족하지 못하는 컨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구축 아파트 매수자분들이 리모델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알아야 할 정보도 많고, 필수로 챙겨야 할 사항들도 많아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최근 인테리어 업체들이 사기치는 사례도 많기 때문에 걱정도 많으실 거구요. 저 역시도 20년 구축 아파트 매매 후 이런 부분들이 매우 신경이 쓰였고, 진행할 때 너무나 머리 아파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도 많은 분들의 이야기들을 찾아보면서 정보를 얻어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진행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마음에 리모델링 진행했던 이야기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어떻게 진행했는지, 어떤 사항들을 체크했는지 참고하시길 바라며 만족스러운 리모델링을 하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업체 선정 이전에 어떤 내용들을 확인하고 준비했는지 적어볼게요!
[집 컨디션 확인]
우선 집에 대한 파악이 중요합니다. 집의 구조부터, 어디까지 리모델링 혹은 인테리어를 해야할지 컨디션 확인이 필요합니다. 매수한 집의 경우, 30평형대 아파트로 내부 인테리어를 진행하거나 부분 수리 등을 한 모습이 전혀 없이 기존 그대로의 모습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예전에 인기를 끌었던 체리몰딩이 특히나 눈에 들어왔었죠.. ㅎㅎ 덕분에 전체 리모델링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확장 진행 결정]
구축 아파트의 경우, 베란다의 면적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방이나, 거실 공간이 최근에 지어지는 아파트들보다는 작습니다. 때문에 더 넓은 공간 활용을 위해서는 확장 공사를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 역시도 확장되지 않은 집이었기에, 확장을 결정했고 작은 방들도 할 수 있었지만 비용적인 부분이 상당히 커서 거실만 확장하기로 하였습니다. 확장 공사 진행시에는 창호는 2중창으로 교체, 바닥 단열공사가 추가되는 등 리모델링 비용에 있어 상당히 증가되오니 무조건 확장이 아닌 필요한 공간만 진행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는 거실은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공간의 차이가 너무나 다르답니다.
[컨셉 확인]
컨디션을 확인하고, 확장 공사 진행 여부에 대해 결정을 하고 다양한 리모델링, 인테리어 시공 사례들에 대해 찾기 시작했습니다. 깔끔하게 화이트톤으로 시공한 사례, 네이비&골드를 조합하여 세련된 느낌으로 시공한 사례 등 정말 각양각색의 다양한 사례들이 많았습니다. 처음부터 '이걸로 하자!' 결정한 내용은 없었기에 최대한 많이 보면서 마음에 드는 것들은 스크랩, 캡쳐 등 저장해두었습니다. 그렇게 저장한 내용들을 확인해보니 깔끔한 화이트톤에 조명 등으로 포인트를 주는 것을 마음에 들어하는구나 확인하고 컨셉을 확정짓고, 그쪽으로만 정보들을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정보는 오늘의집, 핀터레스트, 블로그 등 통해서 다양하게 찾아봤습니다. 같은 아파트 시공 사례가 있다면 더욱 좋으니 이는 필수로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스케치]
컨셉을 정하면 바로 인테리어 업체를 컨택해서 진행해도 되지만, 아는 만큼 보인다고 집 구조에 대해 본인이 생각하는 내용들을 스케치한 이후에 컨택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무작정 찾아간다면 업체에 끌려다니기 쉬우며, 디테일하고 본인이 정말 원하는 사항들에 대해 대해 서로 주고 받을 수 없습니다. 업체 방문전에 네이버에 나와있는 평면도를 기반으로 해서 방, 화장실, 욕실 등 구분하여 각각 원하는 사항들에 스케치했습니다. 현관은 600각 타일, 현관문은 녹색 필름, 신발장은 하부 간접조명 등등.. 이를 얼마나 해야 정해진 건 없지만 최대한 많이 알아보았고 희망하는 사항들을 작성했습니다. 참고할만한 이미지는 다양하게 준비하여 업체 미팅시 같이 보여줄 수 있도록 준비하였습니다.
[요약]
정리해보자면 리모델링 업체 선정 이전에 집 컨디션을 확인하고,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는 확장 진행 여부에 대해 결정, 컨셉 결정, 스케치를 진행했습니다. 사실 가장 중요한 건 컨셉 결정 때 많은 내용들은 확인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접해보고, 세세한 정보들을 파악하는 것들이 필요합니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아는 만큼 보이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만큼 사전 준비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고 기대감에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에는 업체 선정 과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드릴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꿀정보] 2023년 제30회 「용인시 전국 독서감상문 대회」개최 / 책 / 독후감 / 가족 / 친구 / 연인 / 독서 (50) | 2023.08.20 |
---|---|
[리모델링] 20년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후기 2 (34) | 2023.08.19 |
[가보자] 일본 후쿠오카 여행 명소 3곳 추천 / 친구 / 연인 / 해외여행 / 가족 (10) | 2023.08.15 |
[꿀정보] 23년 제9회 수원발레축제 개막 / 시민참여 / 행사 / 문화제 /가족 / 연인 / 공연 / 예술 (5) | 2023.08.13 |
[꿀정보] 23년 수원 신나는 박물관 여름 소풍 선착순 신청 / 가족 / 어린이 / 축제 / 여름방학 / 갈만한곳 (2) | 2023.07.30 |